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에이즈 초기 증상

Indego 2017. 10. 25. 12:09

최근 성매매 과정 중 남성들이 피임기구를 착용하지 않아 에이즈에 다수 감염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인천과 부산 등에서 성매매를 하던 여성이 자신의 에이즈 사실을 밝히고 자신과 피임기구를 사용 하지 않고 성매수를 한 남성들을 폭로하게 되면서 뭇 남성들의 에이즈에 대한 공포심이 굉장히 커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얼마간은 인기검색어 순위에 에이즈 증상이 1위를 차기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에이즈 진단키트가 내내 판매기록 1위를 갱신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에이즈 초기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에이즈는 어떤 질병인가 정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에이즈란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를 의미하며 영어로는 HIV, human inmmunodeficiency virus로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을 의미합니다. 


보통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를 에이즈 감염이라고 하며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게 되면 우리몸에 있는 면역세포인 CD4 양성 T림프구가 바이러스에 의해 파괴되어 결과적으로 면역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각종 감염성 질환이나 염증, 종양이 발생하게 되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최근에는 에이즈를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는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으므로 에이즈에 감염된다 하더라도 치료를 꾸준히 잘 받게 되면 면역력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여 생존할 수 있습니다. 


즉 최근에 들어 에이즈의 치료는 만성치료의 개념으로 바뀌어가고 있는데요. 하지만 아직까지 에이즈의 완치는 불가능 하다고 합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면역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계속해서 복용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부작용 역시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에이즈의 원인은 HIV 바이러스 입니다. 이 에이즈바이러스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감염을 일어키고 있는 것은 HIV-1입니다. HIV 바이러스는 유전적인 특성에 의해 다양한 서브타입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러한 아형들은 끊임없이 유전적인 변형을 하기 때문에  그 다양성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HIV가 감염되는 경로로는 성적인 접촉, 수혈, 혈액을 통핸 전파, 병원 관련 종사 중 바늘에 찔리는 등의 사고로 전파되는 경우 그리고 모체에서 신생아로의 전파 등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에이즈의 증상을 알아볼까요. 에이즈의 감염은 크게 세가지 단계로 나뉘어 볼 수 있습니다. 감염 초기 나타나게 되는 급성 HIV 증후군, 이 후 이어지는 무증상 잠복기, 면역력이 점점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에 나타나는 기회감염 (건강한 사람에게는 감염을 이르키지 않지만 면역이 저하된 사람에게는 심각한 감염을 나타내는 것) 을 비롯해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는 단계뢰 나뉘게 됩니다. 


면역력이 기본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건강할 때는 거의 발생하지 않던 다양한 감염성 질환들이 나타나게 되고 증상 역시 일반인들에게는 아주 미미하거나 가볍게 나타나지만 에이즈환자에게는 굉장히 심각한 질환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면역력 결핍으로 인해 몸속에 악성종양 역시 많이 발생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HIv 바이러스의 진단 같은 경우 가장 빠르고 정확한 진단법은 혈액검사입니다. 혈액속에 들어있는 HIV의 항체나 항원을 직접 찾아 감염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대부분의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에이즈진단검사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보건소에서는 에이즈 검사자의 신원을 확인하지 않고 검사를 진행하는 익명검사를 시행중이며 이는 신원이 밝혀지는 일 때문에 제대로 진단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조치입니다.앞선 선별에서 양성이 나오면 감염을 보다 확실히 판단하기 위해 확진검사를 받아야만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에이즈 확진검사를 위해 웨스턴 블롯법이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에이즈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HIV 감염 경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HIV 감염 상태를 알 수 없는 상대와 성관계를 해야 할 때에는 꼭 콘돔을 사용해야 하며 산모가 HIV 일 때는 출산 하는 과정에서  태아가 HIV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항 에이즈 약제를 투여하여 태아가 감염될 확률을 최소한으로 낮춰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의료인 같은 경우에는 에이즈 환자의 진료를 할 떄 주사기에 찔리지 않도록 안전규졍얼 지켜야 합니다.



댓글